꿀팁공작소

5월 대체공휴일과 근로자의날, 출근하면 내 월급은 얼마일까?

IShotnews 2025. 4. 27. 15:22
반응형
SMALL

벌써 5월, 연휴 시즌이 코앞이네요.
이번 5월은 특히 대체공휴일근로자의 날이 겹쳐서,
"과연 출근하면 돈을 얼마나 더 받을 수 있을까?" 궁금해하는 분들 많을 것 같아요.

오늘은 그걸 아주 쉽게!
"실제 급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" 알려드릴게요.✍️

 


1. 5월, 쉬는 날 정리부터!

이번 5월의 쉬는 날들을 먼저 살펴볼게요.

 

  • 5월 1일(목): 근로자의 날
  • 5월 5일(월): 어린이날 (법정공휴일)
  • 5월 6일(화): 어린이날 대체공휴일

 

그런데!
주의할 점이 있어요.

  • 근로자의 날은 "근로기준법"에 따라 근로자에게만 적용되는 유급휴일이에요. (공휴일 아님)
  • 어린이날대체공휴일은 "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"에 따른 법정공휴일입니다.

즉, 적용 법이 다릅니다!

 


2. 근로자의 날에 출근하면 급여는?

근로자의 날(5/1)은 무조건 유급휴일입니다.
▶ 쉬어도 급여 100% 지급!

그런데 출근하면?

  • 근로자의 날 출근 시 1일 통상임금 + 추가 1일 통상임금 지급
    2배 받아요! ✨

📍 예를 들면:

  • 내 하루 일당이 10만원이다.
  • 근로자의 날 출근하면 ➡️ 10만원(기본) + 10만원(추가) = 20만원 받게 됩니다!

정리:

쉬어도 급여 100% 보장!
출근하면 급여 200% 지급!

 


3. 대체공휴일(5/6)에 출근하면 급여는?

**대체공휴일(5/6)**은 법정공휴일이라, 회사 규칙에 따라 다릅니다.

✅ 만약 회사가 공휴일을 유급휴일로 정한 곳이라면:

  • 쉬면 급여 100% 지급
  • 출근하면 통상임금 100% + 휴일근로수당 50% 추가 지급

(즉, 150% 수당!)

📍 예를 들면:

  • 하루 일당 10만원이면,
  • ➡️ 10만원(기본) + 5만원(추가수당) = 15만원을 받게 됩니다.

정리:

대체공휴일 출근 시 급여는 "1.5배"!!


4. 깔끔 요약표

구분쉬는 경우출근하는 경우
5월 1일 근로자의 날 평소 월급 그대로 지급 2배 지급 (1일 통상임금 + 1일 통상임금 추가)
5월 6일 대체공휴일 평소 월급 그대로 지급 1.5배 지급 (1일 통상임금 + 50% 추가수당)

 

5. 추가 꿀팁

  • 최저시급(9,860원) 기준이면 하루 8시간 근무 시 기본급은 약 78,880원입니다.
  • 근로자의 날 출근 시 ➡️ 약 157,760원
  • 대체공휴일 출근 시 ➡️ 약 118,320원

짭짤하죠? 😎

 

5월에 연휴라 좋아했지만,
막상 출근해야 한다면
수당이라도 제대로 챙겨야 억울하지 않겠어요?

  • 근로자의 날: 출근하면 월급 2배!
  • 대체공휴일: 출근하면 월급 1.5배!

꼭 체크하시고,
이번 연휴는 "쉴 사람은 확실히 쉬고"
"일할 사람은 돈이라도 왕창 벌기" 프로젝트 성공하세요. ✨

모두 행복한 5월 보내세요!🌸

반응형
LIST